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37

습관이 다르면 불편할 뿐, 불만,갈등이 되지 않으려면 "알아차림"과"이해"가 필요하다. 습관이 다르면 불편할 뿐, 불만, 갈등이 되지 않으려면 "알아차림"과"이해"가 필요하다. 습관이란,국어사전적 의미 : "오랫동안 되풀이하여 몸에 익은 채고 굳어진 개인적 행동"을 말한다.심리학적 의미   : "학습에 의하여 후천적으로 획득되어 되풀이함에 따라 고정화된 반응 양식"을 말한다.우리가 이미 알고있듯이  "성질", "업", "까르마"라고도 한다. 우리는 누군가와 인간관계를 할 때 상대와 내가  습관이 다르면 매우 "불편"하다.이때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상대의 습관을 알아차리는 것이다."아! 상대의 습관, 성질은 이렇구나" 하고 알아차리면 "이해"가 된다.알아차리지 못할 때, "불편"이 되고 더 나아가서는 "불만"이 된다. "불만"이 발생하면 괴로워지고, 불행해진다.알아차리고 이해하면, 불편하기.. 2023. 5. 2.
그리워한다는 건, 기다리는 것이며, 사랑한다는 것입니다. 그리워한다는 건, 기다리는 것이며, 사랑한다는 것입니다. 상담을 하면서, 사랑 때문에 아파하는 누군가의 이야기를 들어주다 보니,어쩌면 사랑 때문에 아파하는 모든 이의 이야기 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뻔한 얘기 같지만, 산다는 것이 어쩌면 다 그렇고 그런 모양이다.특별한 것이 없는 줄 알면서는 우리는 그 특별함을 찾고 있는 건 아닐까? 성격차이니 뭐니 하는 각종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은 맞지만결국 그 "차이" 앞에서 힘없이 무너지는가? 아니면 그 "차이"를둘만의 다른 차이로 극복해 나가는가 하는 아주 단순한 "차이"인 것이다. 결국 "차이"를 극복하는 데에는 "사랑"이라는 묘약밖에 없다.사랑은 초기에는 불타오르다 살아가면서 서서히 얇아지게 되며,"믿음"과 "배려"라는 불쏘시게를 어떻게 잘 활용하는가에 따라.. 2023. 4. 29.
현대 가족의 문제점 가족이란?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되는 기본적인 사회의 일차적인 집단으로서 이들은 이익관계를 초월한 애정적인 혈연집단이며 같은 장소에서 기거하고 취사하는 동거동재 집단이고 그 가족만의 고유한 가풍을 갖는 문화집단이다. 2. 가족의 기능초기농경사회에서 가족들은 필요한 물건들을 자급자족하였기 때문에 모든 가족이 생산적 기능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현대가족의 다양한 형태를 고려할 때 가족의 기능은 고정적이라기보다는 사회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첫째, 친밀한 관계의 근원을 제공한다. 둘째, 경제적인 협조적인 단위로서 기능한다. 셋째, 자녀를 출산하고 그들을 사회화시킨다. 넷째, 가족 구성원에게 지위와 사회적 역할을 할당한다.  1) 전통가족의 성격 한국은 (중국, 일본과 마찬가지로.. 2023. 4. 27.
필링의 인문학을 읽고..... 인문학, 힐링(Healing)인가 필링(Peeling)인가? 우리 사회에 한 때 "힐링(치유와회복)""힐링(치유와 회복)"이라는 말이 유행인적이 있다..[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와 같이 우리는 일상에서 주어진 사회구조 속에서열심히 일하고, 상처받고, 스트레스받고, 지치면서 "힐링"이라는 명분으로일상탈출을 시도하였다. 그리고는 다시 그 사회 구조속으로 들어와 또 다른 "힐링"을위해그 일상을 반복하였다. 의미없는 "힐링"의 연속일 뿐… 힐링의 인문학이 지친 내 영혼을 위로하는 것이라면,., .필링의 인문학은 나를 지치게 만드는 본질을 찾아 문제 삼는다인문학은 단순히 교양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나를 둘러싼 사회적 관계와 공동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나를 찾는 것이다. 일상적으로 살.. 2023. 4.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