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37

감정 조절을 잘 하는 것이 카르마(업보)에서 벗어나는 길이다. 감정을 잘 조절하는 것이 카르마(업보) 에서 벗어나는 길이다 1.감정을 통제하는 것은 우리의 인생에서 업보(업을 낳는 행동의 결과)에서 벗어나기 위한  핵심적인 방법이다.  업보는 과거의 행동에 따른 결과이며, 그 결과는 우리의 현재와 미래에 영향을 미친다.  그렇다면, 감정을 통제함으로써 업보에서 벗어나는 중요성과 그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2.우리는 매 순간 다양한 감정을 경험한다.  기쁨, 슬픔, 분노, 사랑, 불안 등 다양한 감정이 우리를 스며들며 우리의 행동과 행위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이러한 감정에 지나친 연역과 탐색을 부여하면 우리는 업보를 만들게 된다.  감정의 작용과 반작용 원리를 이해하고 감정을 효과적으로 통제함으로써  우리는 업보의 끈을 풀고 자유로워질 수 있다. 감정을 통제하는 .. 2023. 6. 6.
제3장-회복탄력성훈련:유연성 1.우리는 자신이 처한 상황을 바라볼 때 고정관념에 사로잡히는 경우가 많다.상황 자체를 바꾸기는 어렵더라도 상황을 바라보는 방식은 "언제나" 바꿀 수 있다.동일한 사건을 경험한 두 사람이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사건을 재해석할 수 있다.한 사람은 "왜 이런 일이 계속 나에게 벌어질까?"라며 부란을 품지만,다른 한 사람은 불행 속에서 행운을 찾아 긍정적인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다. 고통의 1차화살 : 사건 그 자체이다. 우리는 이 화살을 통제할 수 없다.                            실직, 질병, 사고 등 두려움, 염려, 불안이 따라온다.고통의 2차화살 : 이미 벌어진 일에 우리가 만든 스토리를 더한 것이다.                            자괴감, 불운, 초조, 분노, 근심.. 2023. 6. 5.
이의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창궐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란 말이 등장했는데요. 말도 거리와 밀접한 관계가있습니다.  말은 거리를 좁힙니다. 어른 세대와 젊은 세대 간의 시간적 거리를 좁힙니다. 뿐만 아니라, 공간적 거리도 좁힙니다. 지역과 지역, 나라와 나라 간 소통이 활발해질수록 거리는 그만큼 줄어듭니다. 하지만, 말도 거리두기가 필요합니다. 너무 가까워서 허물없이 말하다 보면 선을 넘게 되고 불편하고 피곤한 관계가 되기도 하니까요~ 가까운 관계일수록 이런 일이 더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그렇다고 너무 멀리 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죠.서먹서먹, 대면 대면대면해 집니다.  소원한 관계도, 밀착 관계도 아닌 건강한 긴장관계가 좋습니다. 적정한 거리를. 친구관계, 연인관계,부부관계가 모두 그렇습니다.  리더의 말도.. 2023. 6. 4.
아부는 아무나 하나 어느날 상사에게 이런 얘기를 들었습니다.“ 왜? 직원들은 칭찬받고 싶어 하면서,, 윗사람 칭찬 하는 데는 인색해요?”라는 말입니다.  그런 사람을 보면 아부한다고 비아냥거리기나 하고 조직에서 상사를 따르는 건당연한데 상사를 향한 칭찬은 아부로 보입니다. 그런데, 아부가 나쁘기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상사에게뿐만 아니라, 이성에게 구애하는 과정에서도 사람들은 아부합니다. “I Love You!”……….. 이게 잘못은 아니죠 1.아부가 쉬운건 아닙니다. 아부를 잘하려면“퍼스트 펭귄”이 되어야 합니다. 펭귄무리중 한마리가 먼저바다에 뛰어들면 나머지 펭귄들도 뛰어듭니다. 상사가 성과를 냈을 때, 용기를 내서 가장 먼저 칭찬하면,뒤이어 너나없이 칭찬에 뛰어들게 됩니다. 2.이때상사의 기억에 남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2023. 6.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