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146 위로해서는 안될 말들 위로가 필요한 시대입니다. 예기치 않은 사고와 이런 저런 일로 힘든 사람이 많은 세상이지요. 하지만,진심 어린 위로만 있으면 살 만한 세상이기도 합니다. 제대로 위로 받은 사람은 좌절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위로하는 말에도 조심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가장 위험한 것이 위로를 가장한 “충고"입니다. 병에 걸린 사람한테 술을 많이 마셔서 그렇다는 둥, 음식을 가려 먹으라는 둥의 지적을 하는 경우.이런 경후 흔하지요? 동정에서 비롯한 위로는 상대의 자손심을 상하게 할 수 도 있습니다. 누군가를 불쌍히 여기는 마음 안에는 착한 마음 못지않게, 내가 그보다 낫다는 우월의식이 담겨 있구요~내가 저런 처지에 있지 않아 다행 이구나하는 생각이 묻어 있습니다. 누군가를 위로해야 할 때 이런 마음을 경계해야겠지요... 2023. 6. 6. 감정 조절을 잘 하는 것이 카르마(업보)에서 벗어나는 길이다. 감정을 잘 조절하는 것이 카르마(업보) 에서 벗어나는 길이다 1.감정을 통제하는 것은 우리의 인생에서 업보(업을 낳는 행동의 결과)에서 벗어나기 위한 핵심적인 방법이다. 업보는 과거의 행동에 따른 결과이며, 그 결과는 우리의 현재와 미래에 영향을 미친다. 그렇다면, 감정을 통제함으로써 업보에서 벗어나는 중요성과 그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2.우리는 매 순간 다양한 감정을 경험한다. 기쁨, 슬픔, 분노, 사랑, 불안 등 다양한 감정이 우리를 스며들며 우리의 행동과 행위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이러한 감정에 지나친 연역과 탐색을 부여하면 우리는 업보를 만들게 된다. 감정의 작용과 반작용 원리를 이해하고 감정을 효과적으로 통제함으로써 우리는 업보의 끈을 풀고 자유로워질 수 있다. 감정을 통제하는 .. 2023. 6. 6. 제3장-회복탄력성훈련:유연성 1.우리는 자신이 처한 상황을 바라볼 때 고정관념에 사로잡히는 경우가 많다.상황 자체를 바꾸기는 어렵더라도 상황을 바라보는 방식은 "언제나" 바꿀 수 있다.동일한 사건을 경험한 두 사람이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사건을 재해석할 수 있다.한 사람은 "왜 이런 일이 계속 나에게 벌어질까?"라며 부란을 품지만,다른 한 사람은 불행 속에서 행운을 찾아 긍정적인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다. 고통의 1차화살 : 사건 그 자체이다. 우리는 이 화살을 통제할 수 없다. 실직, 질병, 사고 등 두려움, 염려, 불안이 따라온다.고통의 2차화살 : 이미 벌어진 일에 우리가 만든 스토리를 더한 것이다. 자괴감, 불운, 초조, 분노, 근심.. 2023. 6. 5. 이의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창궐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란 말이 등장했는데요. 말도 거리와 밀접한 관계가있습니다. 말은 거리를 좁힙니다. 어른 세대와 젊은 세대 간의 시간적 거리를 좁힙니다. 뿐만 아니라, 공간적 거리도 좁힙니다. 지역과 지역, 나라와 나라 간 소통이 활발해질수록 거리는 그만큼 줄어듭니다. 하지만, 말도 거리두기가 필요합니다. 너무 가까워서 허물없이 말하다 보면 선을 넘게 되고 불편하고 피곤한 관계가 되기도 하니까요~ 가까운 관계일수록 이런 일이 더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그렇다고 너무 멀리 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죠.서먹서먹, 대면 대면대면해 집니다. 소원한 관계도, 밀착 관계도 아닌 건강한 긴장관계가 좋습니다. 적정한 거리를. 친구관계, 연인관계,부부관계가 모두 그렇습니다. 리더의 말도.. 2023. 6. 4.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3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