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조언
[강원필태]
79. Darley가 제시한 특성요인 직업상담에서 상담자가 지켜야 할 4가지 상담원칙
1. 내담자에게 일방적으로 강의하거나 고자세로 말하지 않는다. |
2. 정보나 해결책을 제시하기 전에 내담자가 그것을 정말로 원하는지 확인한다. |
3. 내담자에게 가능한 필요한 정보만 제공하고, 쉬운 말을 사용한다. |
4. 내담자가 지닌 태도를 지각하고, 내담자를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
(Darley)가 제안한 특성 요인에 따른 네 가지 진로 상담 원칙은 다음과 같다:
- 개인의 이해: 상담자는 내담자의 흥미, 능력, 성격 등을 철저히 이해해야 합니다.
- 직업 세계의 이해: 상담자는 다양한 직업과 그 직업이 요구하는 자질, 직무 내용을 충분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 합리적인 선택: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특성과 직업 세계의 요구를 바탕으로 합리적이고 적합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 과학적 방법의 사용: 상담자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내담자의 진로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정재동]
80. Brayfield가 제시한 직업정보의 기능 3가지 설명
1. 정보적 기능 : 내담자의 직업선택에 대한 지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제공한다. |
2. 재조정 기능 : 내담자의 선택이 현실에 부합한 선택인지 현실검증을 하도록 한다. |
3. 동기화 기능 : 내담자가 의사결정과정에 적극 참여하도록 동기화시킨다. |
- 정보 제공 기능: 직업 정보는 개인이 직업 선택을 할 때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는 직업의 내용, 요구 조건, 직업 전망 등을 포함하여, 개인이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동기 부여 기능: 직업 정보는 개인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을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합니다. 올바른 정보를 통해 개인은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노력과 준비를 하게 됩니다.
- 탐색 기능: 직업 정보는 개인이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다양한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접하면서, 자신이 몰랐던 새로운 직업이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잠결독타자]
81. 특성.요인상담에서 윌리암슨의 인간본성에 대한 기본가정중 3가지를 쓰시요.
1. 인간은 선과 악의 잠재력을 모두 지니고있는 존재이다. |
3. 인간이 선한생활을 결정하는 것은 바로 자기 자신이다. |
5. 인간은 누구나 그 자신의 독특한 세계관을 지니고있다. |
2. 인간은 선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존재이다. |
4. 선의 본질은 자아의 완전한 실현이다. |
- 개인은 독특하고 측정 가능한 특성을 지닌다: 윌리엄슨은 개인이 각기 다른 능력, 흥미, 성격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과학적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다: 윌리엄슨은 개인이 충분한 정보와 자기 이해를 바탕으로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 개인은 자기 발전과 자기 실현을 추구한다: 그는 개인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기 발전과 자기 실현을 추구한다고 가정했습니다.
[분종진예상추]
82. Williamson의 특성-요인 직업상담의 과정을 쓰시요
분석->종합->진단->예후->상담->추후지도
- 분석(Analysis): 내담자의 개인적 특성과 배경을 분석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주로 면담, 심리검사, 학교 성적, 생활 기록 등을 통해 내담자의 능력, 흥미, 성격 등을 파악합니다.
- 종합(Synthesis): 분석을 통해 얻은 자료를 종합하여 내담자의 강점과 약점을 명확히 합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가 직업 선택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들을 정리합니다.
- 진단(Diagnosis): 내담자가 겪고 있는 문제를 명확히 정의하고, 그 문제의 원인을 규명합니다. 여기서 문제는 내담자가 직면한 진로 선택의 어려움일 수 있습니다.
- 예측(Prognosis): 진단된 문제를 바탕으로 내담자가 가능한 여러 선택지를 평가하고, 각 선택지의 가능성과 그 결과를 예측합니다.
- 상담(Counseling): 내담자가 합리적이고 적합한 진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상담자가 조언과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 과정에서 내담자가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추수지도(Follow-up): 상담 후 내담자가 선택한 진로에 잘 적응하고 있는지,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한지 등을 확인하며 지속적인 지도를 제공합니다.
[탐비변]
83. 정신역동적 직업상담모형을 구체화시킨 Bordin은 직업상담과정을
3단계로 구분하였다. 각 단계를 설명.
1. 탐색과 계약체결단계 : 내담자의 방어기제를 탐색하고, 상담전략에 대해 합의한다. |
2. 비판적 결정단계 : 내담자는 자신의 진로에 대한 중대한 결정을 한다. 어떤 직업을 선택하기 위해 자신의 성격을 |
변화시키는 것도 포함한다. |
3. 변화를 위한 노력단계 : 내담자 자신이 선택한 직업에 맞춰 자신의 인성을 변화시키려 노력한다. |
이 단계에서 자아의 인식과 이해를 점점 확대하도록 추진된다. |
- 탐색 단계(Exploration stage): 이 단계에서는 내담자가 자신의 생각, 감정, 경험 등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돕습니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무의식적 욕구, 갈등, 불안을 탐색하며, 이를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내면에서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지 이해하도록 합니다. 이 과정에서 과거 경험이나 현재의 심리적 상태를 깊이 탐구하며, 내담자의 자아 인식과 통찰을 높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 통찰 단계(Insight stage): 이 단계에서는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의 근본 원인과 그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통찰을 얻도록 돕습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무의식적 동기와 그로 인한 행동 패턴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러한 통찰을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진로 선택과 관련된 심리적 문제를 더 잘 이해하게 됩니다. 내담자는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더 깊이 이해하고, 이를 통해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됩니다.
- 행동 단계(Action stage): 마지막 단계에서는 내담자가 통찰을 바탕으로 실제로 행동을 취하는 것을 돕습니다. 내담자는 새로운 통찰을 바탕으로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구체적인 결정을 내리고, 그 결정을 실행에 옮기기 위한 계획을 세웁니다. 이 단계에서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변화와 성장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며, 내담자가 직면할 수 있는 새로운 도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명비소]
84.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모형의 상담기법
1. 명료화 : 내담자의 진술 중 애매모호한 부분을 명확히 한다. |
명료화는 개방적 질문, 충고적 제안, 단순화된 진술 등의 형태를 취한다. |
2. 비교 : 직업문제와 방어기제를 비교한다. 두 가지 이상의 주제들이 갖는 역동적 현상들 사이의 유사성이나 |
차이점들을 보다 분명하게 구분한다. |
3. 소망-방어체계에 대한 해석 : 내담자의 욕구와 직업결정과정 사이의 관계를 지각하도록 한다. |
심리역동적 진로 상담 모델(Psychodynamic Career Counseling)은 개인의 무의식적 동기, 감정, 과거 경험이 진로 선택과 직업적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이 모델에서 사용되는 주요 상담 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유 연상(Free Association): 내담자가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 감정, 기억 등을 이야기하도록 하여 무의식에 있는 내용을 탐색하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의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친 과거 경험이나 감정들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 꿈 분석(Dream Analysis): 꿈은 무의식적인 욕구와 갈등을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됩니다. 꿈 분석을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억압된 감정이나 무의식적 동기를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 전이와 역전이 분석(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Analysis):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과거의 중요한 인물들과의 관계에서 느꼈던 감정을 전이시키는 것을 탐구하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의 대인관계 패턴을 이해하고, 이러한 패턴이 진로 선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해석(Interpretation): 상담자는 내담자의 진술이나 행동을 해석하여 무의식에 숨겨진 의미를 밝혀줍니다. 해석을 통해 내담자는 자신의 무의식적 갈등이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자각하게 됩니다.
- 과거 경험 탐색(Exploration of Past Experiences): 내담자의 과거 경험, 특히 어린 시절의 중요한 사건들이 현재의 직업적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합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의 진로 선택에 영향을 준 패턴을 인식하고,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와 같은 심리역동적 접근은 내담자가 무의식적으로 억압된 감정이나 갈등을 인식하고, 이러한 내적 동기가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함으로써 더 깊이 있는 자기 이해를 촉진합니다.
[문심자현태의]
85. Super의 발달적 직업상담 6단계를 순서대로 설명
1. 문제탐색 및 자아개념의 묘사 : 비지시적 방법으로 문제를 탐색하고 자아개념을 묘사한다. |
2. 심층적 탐색 : 지시적 방법으로 문제를 심층적으로 탐색한다. |
3. 자아수용 및 자아통찰 : 내담자 스스로 자기의 사고를 명료화하여 자아수용을 하게 한다. |
4. 현실검증 : 심리검사를 실시하고 직업정보를 분석하여 현실검증을 한다. |
5. 태도와 감정의 탐색과 처리 : 현실검증에서 얻어진 태도와 감정을 탐색하고 자신과 일의 세계를 탐색한다. |
6. 의사결정 : 자신에 대한 탐색결과 현실검증 결과를 토대로 자신에게 맞는 의사결정을 한다. |
슈퍼(Donald Super)의 발달적 진로 상담 모델은 개인의 직업적 발달이 생애 전반에 걸쳐 이루어진다고 보고, 이를 여섯 단계로 나눕니다. 각 단계는 특정한 발달 과업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은 각 단계에서 자신의 역할과 목표를 재평가하고 조정해 나갑니다.
- 성장 단계(Growth Stage, 4~13세)
이 단계에서 어린이는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직업 세계에 대한 초기 인식을 발달시킵니다. 부모, 교사, 주변 인물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본적인 흥미와 능력에 대한 자각이 시작됩니다. 이 시기에는 직업적 역할보다는 자신의 정체성과 관련된 발달이 중점적입니다. - 탐색 단계(Exploration Stage, 14~24세)
청소년기에서 성인 초기에 해당하는 이 단계에서는 자신의 흥미와 능력을 탐색하고, 다양한 직업적 선택을 고려합니다. 진로에 대한 실험적인 접근을 하며, 학교 교육, 아르바이트, 인턴십 등을 통해 경험을 쌓습니다. 이 시기의 목표는 자아개념을 직업적 목표와 연계하는 것입니다. - 확립 단계(Establishment Stage, 25~44세)
성인이 되어 진로를 구체적으로 결정하고 직업 세계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는 단계입니다. 직업을 선택하고, 그 직업 내에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며 인정받고자 합니다. 또한 직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는 시기입니다. 성공적인 커리어의 기반을 다지는 것이 핵심 과업입니다. - 유지 단계(Maintenance Stage, 45~64세)
이 단계에서는 기존에 달성한 직업적 위치를 유지하고, 더 나아가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집니다. 직무 기술을 유지하고, 새로운 변화를 수용하면서도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직업적 만족을 추구하면서 직장에서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평가합니다. - 쇠퇴 단계(Decline Stage, 65세 이상)
은퇴를 준비하고, 직업에서의 역할을 축소하는 단계입니다. 개인은 직업적 책임에서 벗어나며, 새로운 생활 방식에 적응해 나갑니다. 이 시기는 직업적 목표보다는 은퇴 후의 생활 계획, 여가 활동, 자원봉사 등의 활동으로 삶의 의미를 재정립하는 시기입니다. - 철수 단계(Disengagement Stage)
은퇴 이후 직업 생활에서 완전히 벗어나고, 직업적 역할이 아닌 다른 영역에서의 삶에 집중하는 시기입니다. 사회적 관계, 가족, 여가 활동을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하며, 자신만의 삶의 의미를 재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여섯 단계는 개인이 생애 동안 직업적 발달 과정을 어떻게 경험하고 변화하는지를 설명하며, 각각의 단계에서 필요한 상담적 지원이 다를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성탐확유쇄]
86. Super의 진로발달 단계 5가지를 쓰시요
(1)성장기(0세~14세) : 가정과 학교에서 주요인물과 동일시함으로써 자아개념을 발달시킨다.(환상기, 흥미기, 능력기) |
(2)탐색기(15~24세) : 학교생활,여가활동,시간제일의 경험을 통해서 자아검증,역활시행,직업탐색을한다. |
(잠정기, 전환기, 시행기) |
(3)확립기(25~44세) : 자신에대한 적합한분야를 발견하고 자신의 생활안정을위해 영구적위치를 확보하기위한 |
노력을 한다. (시행기, 안정기) |
(4)유지기(45~65세) : 이미정해진 직업에 정착하여 그것을 유지하기위한 노력을 한다. |
(5)쇠퇴기(65세 이후) : 은퇴기로 재취업이나 봉사,여가등 새로운 일을 찾는 시기이다. |
슈퍼(Donald Super)의 진로 발달 이론에서는 개인의 직업적 발달이 다섯 단계로 나뉩니다. 이 단계들은 각 생애 주기에 따라 개인이 직업적 역할을 탐색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 성장 단계(Growth Stage, 4~13세)
이 단계에서는 자아개념의 발달이 이루어지며, 어린이는 직업 세계에 대한 초기 인식을 형성합니다. 흥미, 능력, 직업 가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발달하는 시기입니다. - 탐색 단계(Exploration Stage, 14~24세)
청소년기와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단계로, 다양한 직업적 가능성을 탐색하고 실험적으로 경험합니다. 교육, 직업 경험, 진로 선택 등이 이 시기에 이루어지며, 개인의 흥미와 능력을 확인합니다. - 확립 단계(Establishment Stage, 25~44세)
직업 세계에 본격적으로 진입하여 안정적인 직업을 선택하고 경력을 쌓는 시기입니다. 직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며,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강해집니다. - 유지 단계(Maintenance Stage, 45~64세)
이미 확보된 직업적 위치를 유지하고, 직업적 기술과 지식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시기입니다. 경력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쇠퇴 단계(Decline Stage, 65세 이상)
은퇴를 준비하며 직업적 역할에서 점차 물러나는 단계입니다. 직업 활동을 줄이거나 완전히 은퇴하고, 직업 외의 활동을 통해 삶의 의미를 재정립합니다.
이 다섯 단계는 개인의 생애 주기에 따른 진로 발달 과정을 설명하며, 각 단계에서 요구되는 과업이 다릅니다.
[문개언]
87. Super의 발달적 직업상담에서 진단을 위한 3가지 평가유형
1. 문제평가 : 내담자가 경험하고 있는 어려움과 직업상담에 대한 내담자의 기대를 평가한다. |
2. 개인평가 : 심리검사, 임상적 방법, 사례연구 등을 통해 내담자의 능력, 적성, 흥미 등을 평가한다. |
3. 예언평가 : 문제평가, 개인평가를 바탕으로 내담자가 어떤 분야에서 성공적이고 만족할 수 있는지 예언한다. |
- 심리검사 (Psychological Tests)
개인의 흥미, 성격, 능력 등을 측정하는 심리검사는 개인의 특성과 직업적 적합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는 내담자의 자아개념과 직업 세계 간의 일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자기 보고서 (Self-Report Assessments)
자기 보고서는 내담자가 자신의 경험, 목표, 흥미 등을 스스로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 과정에서 내담자는 자신의 가치관, 진로 성숙도, 직업 선택에 대한 인식을 스스로 탐색하게 됩니다. - 인터뷰 및 관찰 (Interviews and Observations)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면담과 관찰을 통해 내담자의 진로 발달 과정을 평가합니다. 이 방법은 개인의 언어적, 비언어적 신호를 통해 더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며, 내담자의 진로 발달 상태와 현재 상황에 대해 보다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세 가지 평가 유형은 내담자의 진로 발달을 진단하고, 적합한 진로 결정을 내리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88. 발달적 직업상담에서 직업상담사가 할 수 있는 기법으로 '진로자서전'과 '
의사결정일기'가 있는데 각각을 설명
1. 진로자서전 : 학과선택, 아르바이트 경험 등을 자유롭게 기술하게 하여 내담자가 과거에 어떻게 진로 의사결정을 |
했는가를 알아보는 재검토 자료다. 또한 그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타인에 관한 자료 및 면담하는 |
동안 토론을 촉진시켜주는 자료가 된다. |
2. 의사결정일기 : 내담자가 현재 일상생활 속에서 어떻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며, |
진로자서전의 보충역할을 한다. |
- 진로 자서전 (Career Autobiography)
진로 자서전은 내담자가 자신의 과거 진로 경험을 돌아보고 서술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의 가치관, 흥미, 능력, 그리고 삶의 중요한 사건들이 진로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탐구할 수 있습니다. 상담사는 이 과정을 통해 내담자의 진로 발달 단계를 이해하고, 직업적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진로 자서전은 개인의 자아개념을 강화하고 진로 성숙도를 높이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 - 의사결정 일기 (Decision Making Diary)
의사결정 일기는 내담자가 자신의 진로 관련 의사결정 과정을 기록하는 방법입니다. 이 일기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이 직면한 선택 상황과 그에 따른 생각, 감정, 행동을 기록하며, 의사결정의 이유와 결과를 반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내담자가 더 나은 의사결정 능력을 기르고, 직업 선택에서의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상담사는 이를 바탕으로 내담자의 의사결정 패턴을 분석하고, 보다 적절한 의사결정 전략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기법은 내담자의 자기 탐색과 진로 성장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환잠 현탐구특]
89. 긴즈버그의 진로발달이론과 관련하여 현실기의 하위기 3단계를 쓰시요.
1. 환상기:직업선택단계(6~10세) : 그 직업에서 하는일을 놀이활동을 통해서 표출한다. |
2. 잠정기: 시험적 직업선택단계(11~17세) |
1)흥미단계 |
2)능력단계 |
3)가치단계 |
4)전환단계 |
3. 현실기:(18~22):청소년중기에 해당하는 단계로 비로소 현실적인 선택이 이루어진다. |
1) 탐색단계 |
2) 구체화단계 |
3) 특수화(정교화)단계 |
긴즈버그(Ginsberg)의 진로 발달 이론에서 현실기(reality stage)는 세 가지 하위 단계로 나뉩니다:
- 탐색 단계 (Exploration Stage)
이 단계에서는 개인이 다양한 직업에 대해 탐구하고, 여러 가지 진로 선택지를 고려합니다. 자신의 흥미, 능력, 가치를 바탕으로 가능한 직업을 조사하고 실질적인 직업 세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시기입니다. - 결정화 단계 (Crystallization Stage)
이 단계에서 개인은 자신이 선택할 진로 방향을 구체화합니다. 다양한 선택지를 탐색한 후, 자신의 능력과 욕구에 맞는 특정한 직업을 선택하고 그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는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 명료화 단계 (Specification Stage)
마지막으로 명료화 단계에서는 이미 선택한 직업을 구체적으로 준비하고, 필요한 기술이나 교육을 받는 등 실질적인 준비를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개인은 진로 선택을 확고히 하고, 해당 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이 세 하위 단계는 현실적인 직업 선택을 위한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며, 개인이 진로 결정을 내리고 실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진명문]
1. 진단 단계 : 내담자에 대한 검사자료와 상담을 통한 자료가 수집되는 단계다. |
2. 명료와 또는 해석단계 : 의사결정과정을 방해하는 태도와 행동을 확인하며 함께 대안을 탐색하는 단계다. |
3. 문제해결 단계 :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확인하고 문제해결을 위해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다. |
도구적 학습에 초점을 둔다. |
- 문제 정의 (Problem Definition)
상담의 첫 단계는 내담자가 직면한 진로 관련 문제를 명확히 정의하는 것입니다. 이 단계에서 상담자는 내담자가 겪고 있는 혼란, 갈등, 또는 불확실성을 탐색하며, 구체적인 문제를 파악하려고 합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가 상담 과정에서 무엇을 얻고자 하는지 목표를 설정합니다. - 문제 해결을 위한 분석 (Problem Analysis)
두 번째 단계에서는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심층적인 분석이 이루어집니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개인적 특성(흥미, 능력, 가치 등), 환경적 요인(가족, 직업 시장, 사회적 조건 등), 그리고 과거 경험들을 바탕으로 문제를 분석합니다. 이 단계는 내담자가 자신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진로 문제를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발전 대안 탐색 (Exploration of Alternatives)
세 번째 단계는 내담자가 진로와 관련된 여러 대안을 탐색하는 과정입니다. 상담자는 다양한 직업 옵션과 경로를 함께 탐색하며, 각 대안이 내담자의 목표와 가치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검토합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의 선택지를 확장하고,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의사결정 (Decision Making)
이 단계에서는 내담자가 가능한 대안들 중에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결정을 내리도록 돕습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진로 결정을 내릴 때 필요한 정보와 전략을 제공하고, 그 과정에서의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의사결정은 내담자의 개인적 가치, 목표, 현실적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 실행 계획 수립 (Action Planning)
마지막 단계에서는 내담자가 선택한 진로 목표를 실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합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 필요한 자원과 지원이 무엇인지를 함께 계획합니다. 이 과정에서 내담자는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실행에 옮기는 방법을 학습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담 과정은 내담자가 자신의 진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 방안을 찾으며, 실질적인 결정을 내리고 실행할 수 있도록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91. 포괄적 직업상담의 과정과 기법(단계별 주요 접근법)
1. 상담 초기단계 : 발달적 접근법과 내담자중심 접근법을 통해 내담자에 대한 탐색 및 문제의 원인을 파악한다. |
2. 상담 중간단계 : 정신역동적 접근법을 통해 내담자의 문제에서 원인이 되는 요인을 명료하게 하고 제거한다. |
3. 상담 말기단계 : 특성-요인 접근법과 행동주의적 접근법으로 검토나 강화기법이 주로 사용된다. |
[저익청동여자]
92. 인터넷을 이용한 사이버상담의 필요성
(1) 인터넷 보급이 확대되어 언제, 어디서나 즉각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상담을 받을 수 있다. |
(2) 내담자의 익명성이 보장되어 위축감없이 자신의 문제를 솔직하게 알릴 수 있다. |
(3) 청소년 내담자는 전화나 면접보다 인터넷 상담에 더 친밀감을 느낀다. |
(4) 내담자가 스스로 상담을 신청하므로 문제해결 동기가 높고 상담이 효과적으로 진행된다. |
(5) 내담자가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한 후 반응할 수 있으므로 자기성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6)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들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
- 접근성 확대
사이버 상담은 물리적 거리에 관계없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시골 지역이나 상담 서비스를 직접 받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인터넷을 통한 상담은 큰 도움이 됩니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을 받을 수 있어, 바쁜 일정을 가진 사람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심리적 장벽 감소
대면 상담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나 불안감을 느끼는 내담자들에게 사이버 상담은 더 편안한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익명성이 보장된 온라인 환경에서는 감정을 더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으며, 상담에 대한 두려움이나 저항감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긴급한 상황에서의 즉각적인 지원
사이버 상담은 긴급한 상황에서 즉각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내담자가 심리적 위기나 어려움을 겪을 때, 빠르게 전문가와 연결되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여 위기 상황을 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 특정 그룹에 대한 맞춤형 지원
사이버 상담은 특정 연령대, 성별, 문화적 배경에 맞는 맞춤형 상담을 제공하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청소년들은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온라인 상담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통해 그들의 심리적 필요를 더 효과적으로 충족할 수 있습니다. - 프라이버시와 보안
사이버 상담은 내담자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며, 기록과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내담자는 자신이 선택한 안전한 공간에서 상담을 진행할 수 있어, 더 높은 수준의 사생활 보호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인터넷을 활용한 사이버 상담은 상담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내담자들에게 맞춤형 심리적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서, 현대 사회에서 그 필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포충 제효심]
93. 개방형 질문과 폐쇄형 질문의 차이 설명
1. 개방형 질문 |
(1) 보통 '무엇을 어떻게'로 질문을 하며, 질문의 범위가 포괄적이다. |
(2) 내담자에게 답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부여하며, 가능한 한 많은 대답을 할 기회를 제공한다. |
2. 폐쇄형 질문 |
(1) '예/아니오'와 같이 제한된 응답을 요구한다. |
(2) 짧은 시간에 상당한 양의 정보를 추출해 내는 데 효과적이다. |
(3) 심층적 정보는 얻기어렵다. |
- 개방형 질문 (Open-ended Questions)
- 정의: 개방형 질문은 답변자가 자유롭게 생각하고 자신의 의견이나 경험을 자세히 설명할 수 있는 질문입니다. 이러한 질문은 보통 "어떻게", "왜", "무엇" 등의 단어로 시작됩니다.
- 예시: "당신이 가장 기억에 남는 여행 경험에 대해 이야기해 주세요."
- 특징: 답변이 길고 다양하며, 심층적인 정보를 얻는 데 유리합니다. 내담자의 생각과 감정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폐쇄형 질문 (Closed-ended Questions)
- 정의: 폐쇄형 질문은 특정한 선택지나 간단한 응답으로 제한된 질문입니다. 이 질문은 일반적으로 "예" 또는 "아니요"로 대답하거나, 숫자나 짧은 정보를 요구합니다.
- 예시: "당신은 여행을 가본 적이 있습니까?" (예/아니요)
- 특징: 답변이 간단하고 명확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깊이 있는 정보나 개인의 감정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개방형 질문은 응답자가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폐쇄형 질문은 특정한 정보나 의견을 빠르게 수집하는 데 적합합니다. 상담이나 인터뷰에서는 이 두 가지 질문 유형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더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개감명]
94. 탐색적 질문을 하는 과정에서 상담자가 유의해야 할 3가지
(1) 개방형 질문사용: 질문은 개방형 질문으로 한다. |
(2) 감정탐색용 질문사용: 내담자의 정보탐색 보다는 내담자의 감정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 |
(3) 명료화를 돕는질문사용: 내담자의 문제를 더욱 명료화할 수 있는 질문을 사용한다. |
*상담면접시 피해야 할 질문 : 유도질문, 모호한 질문, 이중질문, 폭탄형 질문, 왜질문 |
- 신뢰 구축 (Building Trust)
상담사는 내담자와의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담자가 편안하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신뢰를 구축해야 하며, 이를 위해 경청과 공감을 통해 내담자의 이야기에 진정한 관심을 보여야 합니다. - 개방성과 비판단적 태도 (Openness and Non-judgmental Attitude)
탐색적 질문을 할 때 상담사는 개방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내담자의 경험이나 감정을 비판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담자가 자신의 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수용적이고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 구체성과 명확성 (Specificity and Clarity)
질문은 구체적이고 명확해야 합니다. 모호하거나 일반적인 질문은 내담자가 답변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질문의 초점을 분명히 하고 특정 상황이나 주제를 다루는 것이 필요합니다. 내담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한 언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면 상담사가 탐색적 질문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내담자의 필요와 감정을 이해하고, 상담 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언호유개, 눈목끄기]
95. 초기면담 시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언어적 행동과
비언어적 행동 각각 3가지
1. 언어적 행동 |
-이해 가능한 언어 사용, 언어적 강화 사용(음, 알지요, 선생님은…) |
-적절한 호칭 사용 |
-적절한 유머 사용 |
-개방적 질문 사용 |
2. 비언어적 행동 |
-기분 좋은 눈의 접촉 유지 |
-내담자와 유사한 목소리 톤 사용, 부드럽게 말하기 |
-가끔 고개를 끄덕임, 미소 짓기 |
-내담자에게 신체적으로 가깝게 기울이며 근접함, 접촉 |
- 언어적 행동 (Verbal Behaviors)
- 적극적 경청 (Active Listening): 상담사는 내담자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필요에 따라 질문을 통해 내용을 명확히 하며, 내담자가 표현한 감정을 반영하는 언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당신은 그 경험이 매우 힘들었다고 말씀하셨죠?"와 같은 방식으로 내담자의 감정을 확인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공감 표현 (Expressing Empathy): 내담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공감을 표현하는 언어는 신뢰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당신의 기분이 어떤지 이해합니다"와 같은 표현은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비언어적 행동 (Non-verbal Behaviors)
- 눈맞춤 (Eye Contact): 상담사는 적절한 눈맞춤을 통해 내담자에게 관심과 존중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눈맞춤은 상담사가 내담자의 이야기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신뢰를 형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 신체 언어 (Body Language): 상담사의 신체 언어는 내담자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중요합니다.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자세를 취하고, 편안한 자세로 앉아 내담자가 자신을 편안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고개를 끄덕이는 등의 작은 행동은 내담자가 자신이 이해받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언어적 및 비언어적 행동은 상담사의 전문성과 친밀감을 동시에 나타내며, 내담자가 상담 과정에서 더 편안하고 안전하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조가질]
96. 상담에서 상담자와 내담자의 대화를 가로막을 수 있는 상담자의 반응 3가지 쓰고 설명
1. 너무 이른 조언: 내담자 자신의 문제등에 충분히 알지못함으로 적절치않다. |
2. 가르치기: 내담자는 더 이상 자신에대한 이야기를 하지않고 상담자에게 의존하게된다. |
3. 지나친질문: 내담자에게 수동적인 위치에있게할수있으며, 공감이나 이해반응을 보이기 어렵게된다. |
- 비판적인 태도 (Critical Attitude)
상담사가 내담자의 의견이나 감정에 대해 비판적이거나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경우, 내담자는 자신을 방어적으로 느끼게 되어 솔직하게 표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런 생각은 이상해요"와 같은 반응은 내담자의 자존감을 낮추고 대화를 단절시킬 수 있습니다. - 무관심한 태도 (Disinterested Attitude)
상담사가 내담자의 이야기나 감정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피곤해 보이는 경우, 내담자는 자신의 이야기가 중요하지 않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대화의 흐름이 끊기고, 내담자가 더 이상 이야기하고 싶지 않게 될 수 있습니다. - 성급한 판단 (Hasty Judgment)
상담사가 내담자의 상황이나 감정에 대해 성급하게 판단하거나 결론을 내리는 경우, 내담자는 상담사가 자신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이렇게 해야 해요"와 같은 조언보다는, 내담자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의사소통 차단 (Communication Barriers)
상담사가 너무 전문적인 용어를 사용하거나, 내담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표현을 사용할 경우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내담자가 상담의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게 하고, 의사소통의 단절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감정적 반응 (Emotional Reactions)
상담사가 내담자의 이야기나 감정에 대해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반응할 경우, 내담자는 상담사가 자신의 감정을 처리하지 못한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담사가 지나치게 슬퍼하거나 화를 내는 경우, 내담자는 상담사에게 부담을 느끼고 대화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와 상담사 간의 신뢰와 소통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상담사는 이러한 반응을 피하고, 내담자의 이야기에 진정한 관심을 기울이며, 열린 태도로 대화에 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행역할목비]
97. 상담의 구조화내용을 설명하시요
1. 상담시간,기간,비용등을 합의한다. |
2. 내담자 행동,규칙 설정 |
3. 상담자 역할과 책임 구조화 |
4. 내담자 역활과 책임 구조화 |
5. 상담목표 및 과정의 구조화 |
6. 상담내용의 비밀유지에 대해 설명한다. |
- 소개 및 초기 관계 구축 (Introduction and Initial Relationship Building)
상담의 첫 단계에서는 상담사가 내담자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단계에서 상담사는 자신을 소개하고, 상담의 목적과 진행 방법을 설명하며, 내담자가 편안하게 느낄 수 있도록 신뢰를 구축합니다. - 문제 정의 (Problem Definition)
다음 단계에서는 내담자가 직면한 문제나 고민을 명확히 정의합니다. 상담사는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여 내담자의 상황, 감정, 경험을 깊이 탐구하며,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문제 분석 (Problem Analysis)
이 단계에서는 내담자의 문제를 분석하고, 원인과 배경을 이해합니다. 상담사는 내담자의 과거 경험, 현재 상황, 그리고 감정 상태를 파악하여, 문제의 구조를 이해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 목표 설정 (Goal Setting)
내담자와 상담사는 함께 상담의 목표를 설정합니다. 이 목표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해야 하며, 내담자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대한 명확한 방향을 제시해야 합니다. 목표 설정은 상담의 방향성을 제공하고, 진행 과정을 평가하는 기준이 됩니다. - 대안 탐색 및 실행 계획 수립 (Exploration of Alternatives and Action Planning)
이 단계에서는 내담자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을 탐색하고, 실행 가능한 계획을 수립합니다. 상담사는 내담자가 각 대안의 장단점을 고려하고, 구체적인 행동 계획을 세우도록 지원합니다. - 실행 및 평가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내담자가 수립한 실행 계획을 실제로 실행하는 단계입니다. 이 과정에서 상담사는 내담자의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필요할 경우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내담자가 성과를 이루었는지, 목표에 가까워졌는지를 확인합니다. - 종결 (Termination)
상담이 끝나갈 즈음, 상담사는 내담자와 함께 상담 과정을 돌아보고 성과를 정리합니다. 내담자는 상담을 통해 얻은 통찰과 기술을 바탕으로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설정합니다. 상담사는 내담자가 상담 종료 후에도 자립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격려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상담의 체계적 진행을 도와 내담자가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해 나가는 데 도움을 줍니다.
[사목기비질피]
98. 내담자와의 초기면담 수행 시 상담자가 유의해야 할 사항 5가지
1. 면담 시작 전에 가능한 모든 사례자료 검토하기 |
2. 내담자의 초기목표 명확히 하기 |
3. 내담자의 직업상담에 대한 기대 결정하기 |
4. 비밀유지에 대해 설명하기 |
5. 상담시 필수질문들 확인하기 |
6. 적시에 다른 직업상담사로부터 피드백 받기 |
- 신뢰 관계 구축 (Building Trust)
초기 면접에서는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상담사는 내담자가 편안하게 느낄 수 있도록 따뜻한 태도로 접근하고, 적극적으로 경청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신뢰가 구축되면 내담자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더욱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비판단적 태도 유지 (Maintaining a Non-judgmental Attitude)
상담사는 내담자의 이야기를 비판하거나 평가하지 않는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내담자가 자신의 경험이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수용적이고 지지적인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 명확한 목표 설정 (Setting Clear Objectives)
상담의 목적과 목표를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담사는 내담자와 함께 상담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담 과정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는 내담자가 상담의 방향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적극적 경청 (Active Listening)
내담자의 이야기를 주의 깊게 듣고,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적절한 질문을 하여 대화를 이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담자가 자신의 이야기에 대해 충분히 이야기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합니다. - 안전한 환경 조성 (Creating a Safe Environment)
상담사는 내담자가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는 내담자가 상담 중 느끼는 불안이나 두려움을 줄이고, 더욱 개방적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비언어적 의사소통 (Non-verbal Communication)
상담사는 비언어적 행동(예: 눈맞춤, 몸짓, 표정 등)을 통해 내담자에게 관심과 지지를 전달해야 합니다. 긍정적인 비언어적 신호는 내담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데 기여합니다. - 정보 수집 (Gathering Information)
초기 면접에서는 내담자의 배경, 문제, 목표 등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해야 합니다. 이 정보는 상담 진행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됩니다. - 유연한 접근 (Flexible Approach)
상담 과정은 각 내담자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상담사는 유연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내담자의 필요와 상황에 맞춰 상담 방식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면 상담사는 초기 면접에서 내담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신뢰를 구축하며, 상담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습니다.
[ 구역일환]
99. 생애진로사정의 의미
1. 상담자와 내담자가 처음 만났을 때 이용할 수 있는 구조화된 면접기법으로서, |
내담자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직업상담 정보를 얻는 평가절차이다. |
2. 생애진로사정에서는 작업자, 학습자, 개인의 역할 등을 포함한 다양한 생애역할에 대한 정보를 탐색해 나간다. |
3. Adler는 개인과 세계의 관계를 일.사회.성 등 세 가지 평생과제로 구분하였으며, |
이 세 가지 인생과제가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고 보았다. |
4. Adler의 개인심리학에 기초를 둔 것으로서, 내담자와 환경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
삶의 의미와 경력 평가는 개인이 자신의 삶에서 의미를 찾고, 직업적 목표와 경력을 조화롭게 정립하기 위해 실시하는 과정입니다. 이 평가는 여러 가지 중요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자아 인식 (Self-awareness)
삶의 의미와 경력 평가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가치관, 흥미, 강점 및 약점을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아 인식은 자신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어떤 경로가 자신의 삶에 의미를 더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목표 설정 (Goal Setting)
개인이 삶의 의미를 찾는 과정에서, 자신의 직업적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평가는 개인이 직업적 목표와 개인적 가치관을 일치시켜, 보다 만족스러운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 의사 결정 (Decision Making)
경력 평가를 통해 개인은 다양한 직업적 선택지를 탐색하고, 자신의 가치와 일치하는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삶의 의미를 찾고, 직업적 성취를 이루는 데 필요한 방향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직업적 만족도 (Job Satisfaction)
삶의 의미와 경력 평가를 통해 개인은 직업적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소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가치와 목표에 맞는 직업을 찾음으로써, 더 큰 만족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전체적인 삶의 균형 (Holistic Life Balance)
경력 평가는 직업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삶의 여러 측면도 고려합니다. 개인이 삶의 의미를 찾고, 경력을 쌓아가는 과정에서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
[경평가주]
100. 생애진로사정을 통해 알 수 있는 정보
(1) 내담자의 직업경험과 교육수준을 나타내는 객관적인 사실 |
(2) 내담자 자신의 기술과 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및 상담자의 평가정보 |
(3) 내담자의 가치관 및 자기인식 |
(4) 상담사가 내담자의 기술,능력과 관련하여 일,학교,훈련,여가등과 관련하여 생애진로주제를 추론한다. |
생애진로사정(Life Career Assessment, LCA)은 내담자의 생애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면접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주요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직업 경험 및 교육 수준: 내담자가 어떤 직업을 경험했는지, 어떤 교육과 훈련을 받았는지에 대한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12.
- 기술과 능력: 내담자가 스스로 평가하는 자신의 기술과 능력, 그리고 상담자가 평가한 정보를 포함합니다23.
- 가치관과 자기 인식: 내담자의 가치관, 신념, 태도, 그리고 자기 인식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23.
이러한 정보를 통해 상담자는 내담자의 생애 주제와 직업적 목표를 더 잘 이해하고, 내담자가 자신의 경력을 계획하고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직업상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 상담학 2차 Sub-note 정리[120~136-이하여백-] (0) | 2024.09.09 |
---|---|
직업 상담학 2차 Sub-note 정리[101~120] (3) | 2024.09.07 |
직업 상담학 2차 Sub-note 정리[61~78] (0) | 2024.08.16 |
직업 상담학 2차 Sub-note 정리[41~60번] (0) | 2024.08.11 |
직업 상담학 2차 Sub-note 정리[27~40번] (0) | 2024.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