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불진동 태자비관 ]
-----------------------------------------------------------------
41: 비지시적 상담의 특징 쓰기 (=내담자중심 상담, 인간중심 상담)
-----------------------------------------------------------------
1. 내담자중심의 상담을 중시하며, 상담의 주도책임은 내담자에게 있다. |
2. 주요 상담기법은 일치, 수용, 공감적 이해 등이 있다. |
3. 문제행동의 원인은 자아와 현실 간의 불일치에 있다. |
4. 진단을 배제한다. |
5. 동일한 상담원리를 정상적 또는 부적응 상태의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적용한다. |
6. 심리검사를 사용하지 않으며, 기법보다는 태도와 정의적인 면을 강조한다. |
7. 내담자의 자기인식과 세계인식에 관심을 가진다. |
8. 비지시적 상담을 원칙으로 자아와 일에 대한 정보 부족이나 왜곡에 초점을 둔다. |
9.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관계형성(Rapport)을 강조한다. |
1. 비지시적 상담 (Non-Directive Counseling)
- 특징: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특정한 방향을 제시하지 않고, 내담자가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접근 방식입니다.
- 역할: 상담자는 주로 경청하고, 내담자의 감정을 공감하며, 판단 없이 받아들입니다. 내담자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탐색할 수 있도록 격려합니다.
- 목표: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인식하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2. 클라이언트 중심 상담 (Client-Centered Counseling)
- 특징: 칼 로저스(Carl Rogers)에 의해 개발된 접근법으로, 내담자의 잠재력과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하며,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합니다.
- 역할: 상담자는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 공감적 이해, 진솔함을 통해 내담자와의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내담자가 자기 자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목표: 내담자가 자기 수용과 자기 실현을 이루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
3. 인간 중심 상담 (Person-Centered Counseling)
- 특징: 클라이언트 중심 상담의 발전된 형태로, 인간의 내적 자원을 신뢰하고, 자기 실현의 가능성을 강조합니다. 인간 중심 상담은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의 주도성을 존중합니다.
- 역할: 상담자는 내담자의 경험과 감정을 깊이 이해하고, 내담자가 자신의 진정한 자아를 발견하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 목표: 내담자가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자아 실현을 이룰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 세 가지 접근 방식은 모두 내담자의 자율성과 내재된 성장 가능성을 중시하며, 상담자의 역할은 주로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창자 개 실신 ]
------------------------------------------------------------------------------
42: 인간중심치료에서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의 특성 3가지
-------------------------------------------------------------------------------
1. 창조적이다 : 자기실존영역에서 창조적 삶을 살고, 사회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깊은 욕구를 만족시키며 산다. |
2. 자유롭다 :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그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진다. |
3. 개방적이다 : 경험과 느낌과 태도에 개방적이다. |
4. 실존적이다 : 과거에 매이지 않고, 매 순간 새로운 것을 경험한다. |
5. 신뢰한다 : 유기체로서의 자신을 신뢰하며, 자신의 평가에 의해 행동한다. |
인간 중심 치료(Person-Centered Therapy)에서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Fully Functioning Person)의 세 가지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험에 대한 개방성 (Openness to Experience)
-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은 자신의 감정, 생각, 경험에 대해 개방적이며, 이를 왜곡하거나 억제하지 않습니다. 자신에게 일어나는 모든 경험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성장합니다.
- 실존적 삶 (Existential Living)
- 현재 순간에 집중하고, 과거나 미래에 집착하지 않으며, 삶을 계속해서 변화하는 과정으로 인식합니다. 실존적 삶을 사는 사람은 삶의 불확실성을 받아들이고, 유연하고 자발적으로 살아갑니다.
- 창의성 (Creativity)
-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은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상황에 적응할 때 창의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자기 수용과 자기 실현을 이루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 제자 영평책 ]
----------------------------------------------------------------------------------------------------------------------
43: 내담자 중심 직업상담에서 직업정보 활용의 원리는 검사해석의 원리와 같다.
이를 Patterson은 어떻게 설명하는지 4가지 이상 기술
-------------------------------------------------------------------------------------------------------------------------
1. 상담자가 자진해서 직업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
2. 직업과 일에 대한 내담자의 태도와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
3. 직업정보를 내담자에게 영향을 주거나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다. |
4. 평가적인 방법으로 직업정보를 활용하지 않는다. |
5. 내담자의 책임감에 의한 스스로의 획득을 격려한다. |
Patterson은 클라이언트 중심 진로 상담에서 경력 정보 활용 원리가 검사 해석 원리와 동일하다고 설명하며,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방법으로 이를 구체화합니다:
- 내담자 중심의 해석 (Client-Centered Interpretation): Patterson에 따르면, 진로 정보나 검사 결과의 해석은 내담자가 주도해야 합니다. 즉, 상담자는 정보나 결과를 내담자에게 일방적으로 전달하지 않고, 내담자가 스스로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이는 내담자가 자신의 상황에 맞게 정보를 의미 있게 통합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 정보의 자기탐색 도구로서의 사용 (Use of Information as a Tool for Self-Exploration): 경력 정보나 검사 결과는 내담자가 자신을 탐색하는 도구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Patterson은 상담자가 정보나 결과를 제시할 때, 이를 내담자의 자기 이해와 자기탐색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 비지시적 접근 (Non-Directive Approach): Patterson은 상담자가 경력 정보나 검사 결과를 다룰 때, 비지시적인 접근을 유지해야 한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특정한 방향을 제시하거나 조언하기보다는,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자신의 결정을 스스로 내릴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 내담자의 가치와 목표 존중 (Respect for Client's Values and Goals): Patterson은 경력 정보나 검사 결과를 활용할 때, 내담자의 가치와 목표를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개인적인 가치와 목표를 우선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정보를 해석하고 활용하도록 돕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네 가지 방법은 모두 클라이언트 중심 접근법의 핵심 원칙을 반영하며, 내담자의 자율성과 자기 이해를 존중하는 방식으로 진로 상담을 진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Rogers의 내담자중심 직업상담에서 '내담자 한계의 원칙' 4가지 쓰기
----------------------------------------------------------------------------------------------
1. 애정의 한계 : 상담시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보이는 애정에는 한계가 있음을 알게 한다. |
2. 행위의 한계 : 내담자의 폭행이나 부당한 행위 시 상담을 중단한다. |
3. 시간의 한계 : 상담 시 시간을 정해 놓고 내담자가 잘 적응하도록 한다. |
4. 책임의 한계 : 내담자는 자신의 문제와 행위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
로저스(Carl Rogers)는 클라이언트 중심 진로 상담에서 내담자의 한계를 이해하고 다루는 네 가지 주요 원칙을
제시했습니다.
이 원칙들은 내담자가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다음은 로저스가 제시한 네 가지 원칙입니다:
- 자기 이해의 한계 (Limitations in Self-Understanding):
- 내담자는 자신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할 수 있으며, 자신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로저스는 상담자가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정확히 이해하도록 도와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 정보 처리 능력의 한계 (Limitations in Processing Information):
- 내담자는 진로 관련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통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상담자는 이러한 한계를 인식하고, 내담자가 정보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자신에게 의미 있게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 선택과 결정의 한계 (Limitations in Making Choices and Decisions):
- 내담자는 진로 선택이나 결정 과정에서 불확실성과 두려움을 느낄 수 있으며, 이러한 감정이 선택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로저스는 상담자가 내담자가 신중하게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안전하고 지지적인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환경적 영향의 한계 (Limitations due to Environmental Influences):
- 내담자는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환경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진로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환경적 제약을 인식하고, 이를 고려하여 현실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네 가지 원칙은 클라이언트 중심 진로 상담에서 내담자가 직면할 수 있는 한계를 이해하고,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비내신문비래, 지상나문진래 ]
--------------------------------------------------------------------------------------------------------
45:내담자 중심 이론과 특성-요인이론 상담의 차이점 2가지 이상 설명하시요.
-------------------------------------------------------------------------------------------------------
1. 내담자중심 상담 |
1) 비지시적 상담 |
2) 내담자중심 상담 |
3) 인간은 신뢰가능, 스스로 문제해결 |
4) 문제보다는 개인 그 자체를 중시 |
5) 비진단(진단을 배제한다) |
6) 래포형성이 절대적임 |
2. 특성.요인상담 |
1) 지시적 상담 |
2) 상담자중심 상담 |
3) 인간은 문제해결 못하는 나약한 존재 |
4) 문제를 중시 |
5) 진단중시, 심리검사,기록,사례중시 |
6 래포형성은 선택적임 |
클라이언트 중심 상담 이론(Client-Centered Counseling Theory)은 칼 로저스(Carl Rogers)에 의해 개발된 접근법으로, 내담자의 자율성과 내적 잠재력을 강조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이론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 상담자는 내담자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어떤 판단이나 비판 없이 존중합니다. 이는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자기 자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공감적 이해 (Empathic Understanding):
- 상담자는 내담자의 입장에서 세상을 보려고 노력하며, 내담자의 감정과 경험을 깊이 이해하려고 합니다. 공감적 이해는 상담 과정에서 신뢰 관계를 형성하고, 내담자가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 진솔성 (Congruence):
-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진솔하게 대하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합니다. 이는 상담자가 내담자와의 상호작용에서 가식 없이 진실하게 행동함을 의미합니다. 진솔성은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신뢰를 심어주고, 내담자가 자기 자신도 진솔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내담자 자율성 존중 (Respect for Client Autonomy):
- 클라이언트 중심 상담에서는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며, 내담자가 자신의 삶의 주체임을 존중합니다.
- 자기 실현의 추구 (Pursuit of Self-Actualization):
- 클라이언트 중심 상담은 내담자가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자기 실현(Self-Actualization)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내담자가 자신의 가치와 목표를 명확히 하고, 그것을 성취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돕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내담자와 상담자 간의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클라이언트 중심 상담 이론은 내담자의 성장 가능성과 자율성을 강조하며, 내담자가 자신의 삶을 더 잘 이해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도록 지원합니다.
---------------------------------------------------------------------------------
상담 이론의 특징 및 구성 요소는 상담 과정에서 상담자와 내담자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내담자의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해결할지를 규정하는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상담 이론의 주요 특징 및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이론적 배경 (Theoretical Framework)
- 각 상담 이론은 특정한 철학적 또는 심리학적 배경에 기반합니다. 예를 들어, 정신분석 이론은 무의식과 초기 아동기의 경험이 인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며, 인지 행동 치료는 사고 패턴이 감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이론적 배경은 상담 접근 방식의 근본적인 원칙과 방법을 정의합니다.
2. 인간관(인간본성)
- 상담 이론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특정한 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간중심 상담은 인간이 본질적으로 긍정적인 존재이며, 자아실현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반면, 정신분석 이론은 인간이 본능적 욕구와 사회적 억압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존재로 봅니다. 이러한 인간관은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를 이해하고 다루는 방식을 결정합니다.
3. 문제의 원인 및 발달에 대한 관점 (View on the Causes and Development of Problems)
- 상담 이론은 내담자의 문제가 어떻게 발생하고 발달하는지를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인지 행동 치료는 비합리적인 사고 패턴이 문제의 원인이라고 보고, 이들을 수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반면, 정신분석은 어린 시절의 경험과 무의식적 갈등이 성인의 문제로 이어진다고 설명합니다. 문제의 원인에 대한 이해는 상담의 목표와 방법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상담 목표 (Counseling Goals)
- 각 이론은 상담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인간중심 상담의 목표는 내담자가 자기 실현을 이루도록 돕는 것이며, 인지 행동 치료의 목표는 내담자가 비합리적인 사고를 수정하고 적응적인 행동을 배우는 것입니다. 상담 목표는 상담 과정에서 이루어져야 할 변화를 정의합니다.
5. 상담 기법 및 절차 (Counseling Techniques and Procedures)
- 상담 이론은 특정한 기법과 절차를 사용하여 내담자와의 상담을 진행합니다. 예를 들어, 정신분석에서는 자유 연상과 꿈 분석을 사용하고, 인지 행동 치료에서는 과제 부여와 인지 재구성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기법은 이론적 배경과 일치하며,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도구로 사용됩니다.
6. 상담자와 내담자의 역할 (Roles of the Counselor and Client)
- 각 이론은 상담자와 내담자의 역할을 다르게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인간중심 상담에서는 상담자가 공감적 이해와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탐색하고 해결하는 주체가 됩니다. 반면, 인지 행동 치료에서는 상담자가 더 지시적이고 교육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상담 이론이 어떻게 구성되고 적용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부분입니다. 상담 이론은 내담자의 문제를 이해하고, 그에 적합한 개입을 설계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합니다.
[ 부자 의책 시초불 ]
-------------------------------------------------------------------------------------------
46:실존주의 상담에서 나타나는 인간본성에 대한 기본가정 4가지
--------------------------------------------------------------------------------------------
1. 삶에 대한 무의미함과 고립감을 느낄 때 인간은 부적응을 경험하게 된다. |
2. 인간은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만들어 간다. |
3. 문제해결방법은 인간존재의 참된 의미를 발견하는 것이다. |
4. 인간은 자신의 삶을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존재다. |
5. 인간존재의 불안의 원인은 시간의 유한성과 죽음에 대한 불안에서 기인한다. |
6. 인간은 과거에서 벗어나 자신을 초월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 |
7. 인간존재의 가장 중요한 문제는 불안의 문제이다. |
실존주의 상담에서 인간 본성에 대한 네 가지 기본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유와 선택의 책임 (Freedom and Responsibility of Choice):
- 인간은 자신의 삶과 선택에 대해 자유를 가지고 있으며, 그 선택에 따른 책임도 지게 됩니다. 실존주의 상담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선택하고 그에 따라 삶의 의미를 만들어가는 것을 강조합니다.
- 삶의 의미 추구 (Search for Meaning in Life):
- 인간은 삶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본질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실존주의 상담은 내담자가 자신의 삶에서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도록 돕는 것을 중시합니다.
- 고독과 관계 (Isolation and Relationships):
- 인간은 본질적으로 고독한 존재이지만,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그 고독을 극복하려고 합니다. 실존주의 상담에서는 인간이 고독과의 대면을 통해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의미 있는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불안과 죽음의 인식 (Awareness of Anxiety and Death):
- 인간은 죽음과 삶의 유한성을 인식함으로써 불안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 불안은 부정적인 것만이 아니라, 삶을 더 진지하게 살아가도록 하는 동기가 될 수 있습니다. 실존주의 상담은 이러한 불안을 수용하고, 이를 통해 진정한 자아를 발견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중요시합니다.
이러한 가정들은 실존주의 상담에서 인간의 복잡하고 다양한 본성을 이해하고, 내담자가 자신의 삶에 대해 더 깊이 탐구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기초가 됩니다.
-------------------------------------------------------------------------------------
47:실존주의 상담에서의 내담자의 궁극적 관심사와 관련하여 중요하게
생각하는 주제 4가지
---------------------------------------------------------------------------------------
1. 죽음과 비존재 : 삶의 유한성때문에 보다 진지하게 "지금-여기"에 충실한 삶을 살아가도록 자극한다. |
2. 자유와 책임 : 인간은 자신의 삶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가진 동시에 그에 대한 책임도 있다. |
3. 실존적소외(고립) : 실존을 획득하기 위해 얼마나 노력하며 살아가는가를 의미한다. |
4. 삶의 의미 : 인간은 자신의 삶의 목적과 의미를 찾기 위해 노력한다. |
삶은 그 자체 내에 긍정적 의미를 가지지 않으며, 우리들이 어떤 의미를 창조하느냐에 달려 있다. |
실존주의 상담에서 내담자의 궁극적인 관심사와 관련하여 중요한 네 가지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삶의 의미 (Meaning of Life)
- 내담자가 자신의 삶에서 어떤 의미를 찾고자 하는지는 실존주의 상담에서 핵심적인 주제입니다. 내담자가 자신의 존재 이유와 삶의 목적을 탐구하고, 그 의미를 스스로 정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자유와 책임 (Freedom and Responsibility)
- 인간은 자유로운 존재이지만, 그 자유에는 책임이 따릅니다. 내담자가 자신의 선택과 행동에 대한 책임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는지가 중요한 상담 주제가 될 수 있습니다.
- 죽음과 유한성 (Death and Finitude)
- 죽음과 삶의 유한성에 대한 인식은 내담자가 자신의 삶을 어떻게 바라보고 살아갈지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실존주의 상담에서는 내담자가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극복하고, 이를 통해 더 진정성 있는 삶을 살도록 지원합니다.
- 고독과 관계 (Isolation and Relationships)
- 고독은 인간의 본질적인 조건 중 하나이며, 내담자가 이 고독을 어떻게 경험하고 받아들이는지가 중요합니다. 또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어떻게 이해하고 의미를 찾는지도 중요한 주제입니다.
이 네 가지 주제는 내담자가 자신의 존재와 삶에 대해 더 깊이 성찰하고, 궁극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실존주의 상담의 핵심 요소들입니다.
48:실존주의 상담에서 내담자가 자기인식능력 향상을 위한 치료원리 3가지 설명
--------------------------------------------------------------------------------------------------------
1. 죽음의 실존적 상황에 직면하도록 격려한다. |
2. 자신의 삶에 대한 자유와 책임을 자각하도록 촉진한다. |
3.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창조하도록 돕는다. |
4. 실존적 고독을 직면하게 하면서, 자신의 인간관계 양식을 점검하도록 돕는다. |
실존주의 상담에서 내담자의 자기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 가지 주요 치료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진정성 있는 자기 탐색 (Authentic Self-Exploration)
- 실존주의 상담에서는 내담자가 자신의 진정한 자아를 탐색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내담자가 사회적 기대나 외부의 압력에 억눌리지 않고, 자신의 진정한 감정과 욕구를 발견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진정한 자아와 접촉하고, 그에 따라 삶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실존적 불안과의 대면 (Confrontation with Existential Anxiety)
- 실존주의 상담에서는 불안을 회피하지 않고, 내담자가 불안을 직면하고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실존적 불안은 삶의 유한성, 선택의 책임, 고독 등에서 비롯되는 불안으로, 이를 대면하는 과정에서 내담자는 자신의 존재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게 됩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이 불안을 성장의 기회로 활용하고, 자기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현재 순간에 대한 집중 (Focus on the Present Moment)
- 실존주의 상담에서는 현재 순간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담자가 과거의 후회나 미래의 불안에 머무르지 않고, 현재 순간에 완전히 존재하면서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명확히 인식하도록 돕습니다. 이는 내담자가 자신의 삶에서 무엇이 중요한지를 깨닫고, 더 진정성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원칙들은 내담자가 자기 자신을 깊이 이해하고, 삶의 의미를 재구성하며, 더 자율적이고 진정성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둡니다.
[ 라면설분 ]
------------------------------------------------------------------------------------------------
49:비자발적 내담자를 상담에 적극적으로 임하도록 하는 방법 쓰기?
---------------------------------------------------------------------------------------------------
1. Rapport 형성하기 |
2. 직면하기 |
3. 설득하기 |
4. 내담자의 분노, 좌절, 방어 예상하기 |
강제적으로 상담에 참여하게 된 내담자들이 적극적으로 상담에 참여하도록 독려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신뢰 관계 구축과 내담자의 자율성 존중입니다. 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신뢰 관계 구축 (Building Trust)
- 첫 번째 단계는 내담자와의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강제적으로 상담에 참여하게 된 내담자들은 상담자에 대한 불신이나 저항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감정과 경험을 비판하지 않고, 그들의 이야기를 경청하며, 공감적인 태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상담자가 자신의 입장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내담자의 자율성 존중 (Respecting Client Autonomy)
- 내담자가 상담에 대한 선택권이 없었다고 느낄 때, 상담 과정에서 자율성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상담 과정에서 무엇을 기대하는지, 어떤 목표를 가지고 있는지를 탐색하고, 그에 대한 논의를 통해 내담자가 상담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내담자에게 상담의 목표와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그들이 할 수 있는 선택들을 제시함으로써 자율성을 존중합니다.
3. 작은 성공 경험 제공 (Providing Small Successes)
- 내담자가 상담에서 작은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성취할 수 있도록 돕는 것도 중요합니다. 작은 성공 경험은 내담자에게 자신감을 주고, 상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간단한 자기 탐색 과제나 일상에서의 행동 변화를 목표로 삼고, 이를 달성했을 때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내담자가 상담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할 수 있습니다.
4. 상담의 의미와 가치 설명 (Explaining the Value of Counseling)
- 내담자에게 상담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그들이 얻을 수 있는 이점에 대해 설명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상담이 그들의 삶에 어떻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상담을 통해 어떤 변화가 가능할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써 내담자가 상담의 필요성과 가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방법들은 강제적으로 상담에 참여한 내담자들이 상담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상담 과정에서 자신이 원하는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유용합니다.
[ 현행책자계변 ]
---------------------------------------------------------------------
50:현실치료 상담의 특징을 쓰시요
------------------------------------------------------------------
1. 과거나 미래보다 현재에 초점을 둔다. |
2. 비교적 단기적이고 의식적인 행동문제를 다룬다. |
3. 내담자의 책임감과 행동의 도덕성을 강조한다. |
4. 내담자의 자율적이고 합리적인 모습을 강조한다. |
5. 내담자 스스로 계획을 수립하고 수행을 평가하도록 한다. |
6. 내담자의 책임감 없는 행동이나 변명, 합리화를 금지한다. |
현실 치료(Reality Therapy)는 윌리엄 글래서(William Glasser)에 의해 개발된 상담 접근법으로, 내담자가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둡니다. 현실 치료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현재와 행동에 집중 (Focus on the Present and Behavior)
- 현실 치료는 내담자가 현재의 문제와 행동에 집중하도록 유도합니다. 과거의 경험이나 사건보다는 현재의 행동과 그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변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합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현재의 문제를 이해하고, 실제로 변화할 수 있는 행동을 선택하도록 돕습니다.
2. 상황과의 적응 (Adaptation to Situations)
- 현실 치료는 내담자가 자신의 상황에 적응하고, 자신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실질적인 방법을 찾는 데 중점을 둡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목표를 명확히 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현실적인 전략과 행동 계획을 수립하도록 지원합니다.
3. 책임과 선택 강조 (Emphasis on Responsibility and Choice)
- 현실 치료에서는 내담자가 자신의 선택과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격려합니다. 내담자는 자신의 행동이 현재의 상황을 어떻게 형성했는지 인식하고, 앞으로의 선택이 미래에 미칠 영향을 고려합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선택을 이해하고,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4. 기본 욕구 충족 (Fulfillment of Basic Needs)
- 현실 치료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소속감, 권력, 자유, 재미 등)를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찾도록 돕고, 이러한 욕구가 어떻게 현재의 문제와 관련이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5. 관계의 중요성 (Importance of Relationships)
- 현실 치료에서는 대인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내담자가 자신의 관계에서 겪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탐색합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긍정적인 대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6. 문제 해결 중심 접근 (Problem-Solving Focus)
- 현실 치료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문제를 정의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며, 이를 실행하기 위한 행동 계획을 세우도록 돕습니다.
현실 치료는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실질적인 해결 방법을 모색하며, 자신의 선택과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내담자가 자신의 삶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원행평계]
------------------------------------------------------------------------------------------------
51: Wubbolding의 WDEP체제에 근거한 현실치료 상담의 절차와 기법
---------------------------------------------------------------------------------------------------
1. Want(원함) : 내담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직시한다. |
2. Doing(행동) : 내담자가 현재 자신의 행동에 초점을 두도록 한다. |
3. Evaluation(평가) : 내담자 자신의 행동들이 자신에게 어떤 도움 또는 해가 되는지 평가한다. |
4. Planning(계획) :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도록 새로운 계획을 세운다. |
*3R : 내담자가 바람직한 욕구를 달성할 수 있도록 3R을 강조한다. |
Responsibility, Reality, Right (책임감, 현실감, 옳거나 그름) |
윌리엄 글래서(William Glasser)의 현실 치료(Reality Therapy)에서 Wubbolding의 WDEP 시스템은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설계된 구조적 접근 방법입니다. WDEP는 Wants, Doing, Evaluation, and Planning의 약자로,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은 절차와 기법을 포함합니다:
1. Wants (원하는 것)
- 목표 설정: 내담자가 현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원하는지 명확히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내담자가 자신이 원하는 구체적인 목표와 결과를 정의하도록 유도합니다.
- 기법: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질문을 통해 원하는 것에 대해 탐색합니다. 예를 들어, "당신이 현재의 문제를 해결했을 때 어떤 변화가 있을 것 같나요?" 또는 "당신이 원하는 최종 목표는 무엇인가요?" 같은 질문을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목표를 명확히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 Doing (행동)
- 현재 행동 분석: 내담자가 현재 어떤 행동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행동이 원하는 목표 달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합니다.
- 기법: 내담자가 현재의 행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유도합니다. 상담자는 "현재 당신이 하고 있는 행동은 무엇인가요?" 또는 "그 행동이 당신의 목표 달성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나요?"와 같은 질문을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행동을 명확히 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도록 돕습니다.
3. Evaluation (평가)
- 행동 평가: 내담자가 현재의 행동이 자신의 목표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평가하도록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내담자가 자신의 행동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그리고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지를 분석합니다.
- 기법: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현재의 행동이 원하는 결과를 가져오는지 평가하도록 유도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의 행동이 당신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고 생각하나요?" 또는 "다른 방식으로 시도해 볼 필요가 있나요?"와 같은 질문을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행동을 평가하게 합니다.
4. Planning (계획)
- 대안 계획 수립: 내담자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새로운 행동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내담자가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계획을 세우도록 돕습니다.
- 기법: 상담자는 내담자와 함께 새로운 행동 계획을 개발합니다. 예를 들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을 바꿔야 할까요?" 또는 "새로운 행동 계획은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요?" 같은 질문을 통해 내담자가 실행 가능한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천하도록 지원합니다.
이러한 WDEP 시스템의 절차와 기법은 내담자가 자신의 목표를 명확히 하고, 현재의 행동을 평가하며, 효과적인 행동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는 구조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의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모지문맞 비상]
----------------------------------------------------------------------------
52:실존주의 상담기법 3가지 쓰고 설명하시요
--------------------------------------------------------------------------------
1. 역설적의도 : 내담자가 두려움으로 예측 또는 기대하는바를 직접 대면하도록 요구하거나 격려하는것으로 그 사태에 |
대한 태도의 역전을 의미한다. |
예) 불면증으로 고생하는 내담자에게 잠을자려고 노력하는대신에 잠을 자지않도록하는 것이다. |
2. 역(비)반영: 방관,탈숙고라고도하는데 이는 장애를 무시하는 것이다. 내담자의 과잉된 주의를 자신의 외부로 돌려무시함. |
예) 불면증으로 고생하는 내담자에게 잠을청하는 대신에 음악이나 다른 흥미있는일을하게 하는것이다. |
3 직면 : 1) 내담자의 사고, 감정, 행동에 있는 어떤 불일치나 모순이 있는 경우에 상담자가 그것을 지적해 주는 것이다. |
2) 문제를 그대로 확인시켜 주어 내담자가 문제와 맞닥뜨리도록 함으로써, 내담자가 현실적인 대처방안을 |
찾을 수 있도록 도전시키는 과정이다. |
3) 직면을 사용할 경우 내담자에 대해 평가하거나 비판하는 인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4) 직면은 내담자의 변화와 성장을 증진시킬 수도 있지만 내담자에게 심리적인 위협과 상처를 줄 수도 있다는 |
점을 유의해야 한다. |
실존주의 상담에서 사용되는 세 가지 주요 기법과 그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존재의 문제 탐색 (Exploring Existential Issues)
- 기법 설명: 이 기법은 내담자가 존재의 근본적인 문제를 탐색하도록 돕는 과정입니다. 실존주의 상담에서는 삶의 의미, 자유와 책임, 고독, 죽음 등과 같은 존재의 핵심 문제를 다룹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이러한 문제를 깊이 성찰하고, 자신의 존재와 관련된 감정과 생각을 명확히 하도록 돕습니다.
- 실행 방법: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존재의 문제를 탐색하도록 유도합니다: “당신에게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자유와 책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죽음에 대한 생각이 당신의 현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나요?” 이러한 질문을 통해 내담자는 자신의 존재에 대한 인식을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습니다.
2. 자기 실현의 목표 설정 (Setting Goals for Self-Actualization)
- 기법 설명: 자기 실현의 목표 설정은 내담자가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개인적인 목표를 설정하여 이를 달성하도록 돕는 기법입니다. 실존주의 상담에서는 내담자가 자신의 진정한 자아와 잠재력을 발견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 실행 방법: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가치와 열망을 명확히 하고, 이를 기반으로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당신이 정말로 이루고 싶은 목표는 무엇인가요?” 또는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구체적인 행동을 취할 수 있을까요?” 같은 질문을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는 방향을 설정하도록 지원합니다.
3. 현재 순간에 대한 집중 (Focusing on the Present Moment)
- 기법 설명: 현재 순간에 대한 집중은 내담자가 현재의 순간에 완전히 존재하고, 현재의 경험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돕는 기법입니다. 실존주의 상담에서는 과거의 후회나 미래의 불안에 사로잡히지 않고, 현재 순간에서의 진정한 경험을 중시합니다.
- 실행 방법: 상담자는 내담자가 현재의 감정과 경험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순간에 무엇을 느끼고 있나요?”, “지금 이 순간에서 당신의 감정이나 생각은 어떤가요?” 같은 질문을 통해 내담자가 현재의 경험을 인식하고, 현재의 순간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이 세 가지 기법은 실존주의 상담의 핵심 원칙을 적용하여 내담자가 자신의 존재와 삶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고,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삶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둡니다.
53: 실존주의 상담의 기본원리 4가지 쓰고 설명하시요
--------------------------------------------------------------------------------
1. 비도구성의 원리 : 상담자는 수단이나 도구가아니다. 기술적,지시적,고정된 형식적방식으로 행동해서는 안된다. |
2. 자아중심의 원리 : 개인의 자아세계와 내면의 실체를 의미한다. |
3. 만남의 원리 : 상담자와 내담자의 인간관계, 즉 전이관계를 "만남"으로 규정한다. |
4. 치료할 수 없는 위기의 원리 : 적응이나, 치료, 위기극복이 목표가아니라 인간의 순정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
실존주의 상담의 네 가지 기본 원칙은 인간의 존재와 삶의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다음은 실존주의 상담의 네 가지 기본 원칙과 그 설명입니다:
1. 자유와 책임 (Freedom and Responsibility)
- 원칙 설명: 실존주의 상담에서는 인간이 본질적으로 자유로운 존재라고 강조합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선택과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으며, 이는 삶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원칙은 내담자가 자신의 선택에 대해 책임을 지고, 자신의 삶을 적극적으로 형성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상담 적용: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선택과 행동에 대한 책임을 인식하도록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당신이 현재의 상황에서 무엇을 변화시키고 싶으신가요?" 또는 "현재의 행동이 당신의 목표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나요?"와 같은 질문을 통해 내담자가 자신이 가진 자유와 책임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삶의 변화를 이끌어내도록 지원합니다.
2. 삶의 의미 탐구 (Search for Meaning in Life)
- 원칙 설명: 실존주의 상담은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 인간의 근본적인 욕구라고 봅니다. 내담자가 자신의 존재에 의미를 부여하고, 삶의 목적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원칙은 내담자가 자신의 삶에서 진정한 의미를 발견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상담 적용: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삶에서 의미와 목적을 찾도록 유도합니다. 예를 들어, "당신의 삶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무엇인가요?" 또는 "어떤 경험이 당신에게 큰 의미를 주었나요?"와 같은 질문을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삶의 의미를 탐색하고 발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3. 고독과 관계 (Isolation and Relationships)
- 원칙 설명: 실존주의 상담에서는 인간이 본질적으로 고독한 존재라고 여깁니다. 그러나 이 고독은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극복될 수 있으며, 건강한 관계는 내담자의 자기 이해와 성장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상담 적용: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고독을 이해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이 고독을 다루는 방법을 모색하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타인과의 관계에서 어떤 점이 당신에게 의미가 있나요?" 또는 "현재의 고독을 어떻게 관리하고 있나요?"와 같은 질문을 통해 내담자가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건강한 대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4. 죽음과 유한성 (Death and Finitude)
- 원칙 설명: 실존주의 상담에서는 죽음과 삶의 유한성을 인식하는 것이 인간 존재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봅니다. 죽음에 대한 인식은 내담자가 자신의 삶을 더욱 진지하게 바라보고, 삶의 가치를 재평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상담 적용: 상담자는 내담자가 죽음과 유한성에 대한 인식을 통해 자신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탐색하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죽음에 대한 생각이 당신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나요?" 또는 "삶의 유한성을 인식하는 것이 당신의 목표 설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와 같은 질문을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존재와 삶의 가치에 대해 깊이 성찰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 네 가지 원칙은 실존주의 상담에서 내담자가 자신의 존재를 깊이 이해하고, 삶의 의미를 찾으며, 자신의 선택과 책임을 인식하고, 삶의 고독과 유한성을 수용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원칙들은 내담자가 자신의 존재와 삶을 보다 진정성 있게 탐구하고,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알통 성실책 ]
----------------------------------------------------------------------
54: 형태주의 상담의 주요 목표 3가지
----------------------------------------------------------------------
1. 알아차림 : 자신의 삶에서 현재 일어나는 중요한 현상들을 회피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지각하고 체험한다. |
2. 통합 : 장애상태의 개인은 자신의 전체를 통합적으로 자각하지 못하고 일부분만 자신의 것으로 인정한다. |
내담자로 하여금 감정, 지각, 사고, 신체가 모두 하나의 전체로서 통합된 기능을 발휘하도록 돕느다. |
통합은 자기와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준다. |
3. 성장 : 내담자에 대한 치료 및 증상완화보다는 인간의 성장에 더 관심을 가진다. 자신의 긍정적인 에너지를 통합하고, |
환경에 대해 수용적으로 접촉하는 상호교류를 통해 성장을 지향한다. |
4. 실존적 삶 : 내담자가 실존적인 자세로 자신과 타인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며 자신의 고유한 삶을 |
살아가게 한다. |
5. 책임 : 인간은 누구나 자기 인생의 주체가 되어 스스로 선택하고, 책임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
형태적 상담(morphological counseling)의 주요 목표는 내담자의 심리적 및 정서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목표를 포함합니다:
1. 문제의 구조와 패턴 이해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Patterns of Problems)
- 목표 설명: 형태적 상담의 첫 번째 목표는 내담자의 문제를 그 구조와 패턴을 통해 이해하는 것입니다. 이는 내담자가 겪고 있는 문제의 본질과 그것이 발생하는 방식, 그리고 문제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분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문제를 구체적인 구조와 패턴으로 분석하여, 문제를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 효과적인 개입 방법을 모색합니다.
- 실행 방법: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대화와 평가를 통해 문제의 주요 요소와 상호작용 패턴을 파악합니다. 이를 통해 문제를 형성하는 기본적인 구조를 식별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접근 방식을 개발합니다.
2. 문제 해결을 위한 적절한 개입 방법 개발 (Developing Appropriate Intervention Methods for Problem Solving)
- 목표 설명: 두 번째 목표는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개입 방법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형태적 상담에서는 내담자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과 기법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가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실행 방법: 상담자는 문제의 구조와 패턴을 이해한 후,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개입 방법을 설계합니다. 예를 들어, 행동 수정, 인지적 접근, 감정 관리 기법 등을 활용하여 내담자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3. 내담자의 자원과 강점 활용 (Utilizing Client's Resources and Strengths)
- 목표 설명: 형태적 상담의 세 번째 목표는 내담자의 자원과 강점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내담자가 이미 보유하고 있는 자원과 강점을 파악하고, 이를 최대한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자아를 성장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실행 방법: 상담자는 내담자의 자원과 강점을 탐색하고, 이를 상담 과정에 통합합니다. 예를 들어, 내담자의 과거의 성공 경험이나 강점을 기반으로 문제 해결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강점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습니다.
이러한 세 가지 목표는 형태적 상담이 내담자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접근 방법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의 문제를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55: 형태주의(게슈탈트) 상담기법 설명
-----------------------------------------------------------------------------
인간은 경험하는 유기체로 자신의 사고,감정,행동을통해 매순간자각하여 수용하며살아간다. |
1. 빈의자 기법 : 상대방이 맞은 편 빈 의자에 앉아 있다고 상상하고 대화하는 방법으로, 이 기법을 통하여 내담자는 |
다른 사람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명료화시킬 수 있다. |
2. 머물러 있기 : 고통스러운 감정을 피하거나 대항해서 싸우기보다는 그 감정을 받아들이고 동일시함으로써 |
그것을 중단시키는 대신에 완결시키는 것이다. |
3. 알아차리기 기법 : 지금 -여기서 경험하는 욕구와 감정, 신체, 언어, 환경, 책임의 5가지 영역에서의 알아차림을 |
활성화하는 것이 미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요하다. |
4. 과장하기 :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명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을 때, 상담자는 내담자의 행동이나 언어를 과장되게 |
표현케 함으로써 내담자의 감정자각을 도운다. |
5. 반대로 하기(반전기법, 역전기법) : 내담자에게 평소 행동과 반대되는 행동을 해 보도록 요구함으로써 내담자가 |
억압하고 통제해 온 부분을 표출토록 한다. |
6. 자기부분과의 대화 : 내담자의 분열된 성격의 일부분 간에 서로 대화를 하게 하여 |
내담자의 분열된 자기 부분을 통합하고 확장시킨다. |
게슈탈트 상담(Gestalt Counseling)은 Fritz Perls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개발된 심리치료 접근법으로, 개인이 현재의 경험을 완전히 인식하고 그에 따라 행동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둡니다. 게슈탈트 상담의 기법들은 내담자가 현재의 감정과 행동을 탐구하고, 자아를 통합하며,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유도합니다. 주요 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현재 순간의 집중 (Focusing on the Present Moment)
- 기법 설명: 게슈탈트 상담에서는 내담자가 현재의 순간에 완전히 집중하도록 돕습니다. 과거의 경험이나 미래의 걱정보다는 현재의 감정과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현재의 경험을 명확히 인식하고, 그에 따라 감정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실행 방법: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현재의 감정이나 신체적 감각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유도합니다. 예를 들어, “지금 이 순간 당신이 느끼는 감정은 무엇인가요?” 또는 “현재 이 상황에서 당신의 몸은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나요?” 같은 질문을 통해 현재의 경험을 탐구합니다.
2. 미완성의 과제 다루기 (Addressing Unfinished Business)
- 기법 설명: 미완성의 과제는 내담자가 해결하지 못한 감정적 문제나 미해결의 상황을 의미합니다. 게슈탈트 상담에서는 이러한 미완성의 과제를 다루어 감정적 해소와 내면의 정리를 돕습니다.
- 실행 방법: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과거의 사건이나 미해결된 감정에 대해 다시 탐구하고, 이를 현재의 경험으로 가져와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예를 들어, “당신이 과거에 해결하지 못한 감정이 무엇인지 기억나나요?” 또는 “그 상황에서 느꼈던 감정을 현재의 상황에서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와 같은 질문을 통해 미완성의 과제를 다룹니다.
3. 역할 놀이 (Role Playing)
- 기법 설명: 역할 놀이는 내담자가 특정 상황이나 감정을 다른 관점에서 경험하도록 돕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감정을 보다 명확히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실행 방법: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특정 상황에서의 역할을 연기하도록 유도합니다. 예를 들어, “이 상황에서 당신이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보세요. 그 사람의 감정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와 같은 지시를 통해 역할 놀이를 진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내담자는 새로운 통찰을 얻고, 감정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4. 감정의 직접적 표현 (Direct Expression of Emotions)
- 기법 설명: 감정의 직접적 표현은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고 직접적으로 표현하도록 돕는 기법입니다. 감정을 억누르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함으로써 감정적 해소를 이루고, 자기 인식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
- 실행 방법: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표현하도록 유도합니다. 예를 들어, “당신이 지금 느끼는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해보세요” 또는 “이 상황에서 당신의 감정을 어떻게 솔직히 표현할 수 있을까요?”와 같은 질문을 통해 내담자가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게슈탈트 상담의 기법들은 내담자가 현재의 경험을 깊이 탐구하고,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며, 미완성의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의 내면을 보다 잘 이해하고, 보다 진정성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받게 됩니다.
[ 피연곤내외 ]
--------------------------------------------------------------------------------------------------------------------------------------------
56: Perls의 게슈탈트 상담이론에서 인간의 인격은 양파껍질을 까는 것과 같다고 했다. 인간이 심리적 성숙을 얻기 위해 다섯 단계의 층을 벗겨야 한다고 가정한다. 벼려야 할 신경증의 층 3가지를 설명
---------------------------------------------------------------------------------------------------------------------------------------------------
1. 피상층/허위층 : 형식적으로 만나 피상적으로 교류하는 단계 |
2. 연기층/공포층 : 자신의 욕구를 억압하고 타인이 기대하는 대로 살아가는 단계 |
3. 곤경층/교착층 : 자립을 시도하나 꼼짝도 못하고 공포감과 공허감만 느끼는 단계 |
4. 내파층/내적 파열층 : 거짓된 주체가 무너지고 억압됐던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알아차리는 단계 |
5. 외파층/외적 파열층 :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더 이상 억압하지 않고 외부로 표출하는 단계 |
Fritz Perls의 게슈탈트 상담 이론에서는 인간의 성격을 양파를 벗기듯이 여러 층을 벗겨내는 과정에 비유합니다.
이는 심리적 성숙에 도달하기 위해 내담자가 다섯 개의 층을 벗겨내야 한다고 가정합니다.
여기서 신경증적 층(neurotic layers) 은 심리적 문제를 일으키는 방어 기제나 억압된 감정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세 가지 주요 신경증적 층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아 방어 층 (Ego Defense Layer)
- 설명: 자아 방어 층은 개인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어 기제입니다. 이러한 방어 기제는 내담자가 감정적 고통을 피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심리적 장치입니다. 예를 들어, 내담자는 부정, 억제, 합리화와 같은 방어 기제를 사용하여 고통스러운 감정을 회피하거나 현실을 왜곡할 수 있습니다.
- 버려야 할 이유: 자아 방어 층은 내담자가 자신의 진정한 감정이나 욕구를 직면하는 것을 방해합니다. 이 층을 벗겨내는 것은 내담자가 자신의 실제 감정을 인정하고, 보다 진정성 있는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데 필요합니다.
2. 사회적 역할 층 (Social Role Layer)
- 설명: 사회적 역할 층은 내담자가 사회적 기대나 역할에 따라 형성된 자아입니다. 이 층은 주로 사회적 규범, 타인의 기대, 그리고 문화적 가치에 의해 형성됩니다. 사람들은 사회에서 기대되는 행동이나 역할을 수행하면서 자신의 진정한 자아를 억누를 수 있습니다.
- 버려야 할 이유: 사회적 역할 층은 개인이 타인의 기대에 맞추어 자신을 표현하게 하여, 자신의 진정한 자아를 발견하는 데 장애물이 됩니다. 이 층을 벗겨내면 내담자는 자신의 실제 욕구와 가치에 따라 행동하고, 더 깊이 있는 자기 인식을 할 수 있습니다.
3. 자기 이미지 층 (Self-Image Layer)
- 설명: 자기 이미지 층은 내담자가 자신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나 자아 개념입니다. 이 층은 자아에 대한 자기 평가와 자신이 타인에게 어떻게 보이기를 원하는지를 반영합니다. 자기 이미지는 종종 외부의 피드백과 사회적 기준에 의해 형성됩니다.
- 버려야 할 이유: 자기 이미지 층은 내담자가 자신의 진정한 자아를 발견하고, 진정한 자아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 층을 벗겨내면 내담자는 외부의 기대나 평가에서 벗어나,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자아와 자기 표현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경증적 층을 벗겨내는 과정은 내담자가 자신의 진정한 감정을 인식하고, 억압된 욕구를 탐구하며, 보다 진정성 있는 자아를 발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심리적 성숙을 이루고, 더 깊이 있는 자기 이해와 자아 통합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완전합상욕 ]
-------------------------------------------------------------------------------------------
57: 형태주의 상담(게슈탈트 이론)의 인간에 대한 5가지 가정 쓰기?
-------------------------------------------------------------------------------------------
1. 인간은 완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
2. 인간은 전경과 배경의 원리에 따라 세상을 경험한다. |
3. 인간의 행동은 그것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인 부분의 합보다 큰 전체이다. |
4. 인간의 행동은 신체적.심리적.환경적 요소를 가지고 역동적으로 상호관련되면서 하나의 전체로 작용한다. |
5. 인간은 자신의 현재 욕구에 따라 게슈탈트를 완성해간다. |
형태적 상담(게슈탈트 상담)에서 인간에 대한 다섯 가지 주요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전체성의 원칙 (Principle of Wholeness)
- 가정 설명: 인간은 전체적인 존재로서, 각 부분이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개인의 심리적 문제와 행동은 전체적인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자아와 경험을 고려해야 합니다.
- 의미: 상담 과정에서는 내담자의 경험과 감정이 전체적인 자아의 일부로서 이해되며, 개별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가정합니다.
2. 현재의 중요성 (Importance of the Present)
- 가정 설명: 현재의 순간에서의 경험이 개인의 심리적 상태와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합니다. 과거의 사건이나 미래의 걱정보다는 현재의 경험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 의미: 내담자는 현재 순간의 감정과 경험을 탐구하고 인식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자아를 통합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가정합니다.
3. 자기 인식의 필요성 (Need for Self-Awareness)
- 가정 설명: 인간은 자신에 대한 인식을 통해 자신의 감정, 욕구, 행동을 이해하고 조절할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자기 인식이 이루어질 때, 개인은 자신의 내면 세계를 이해하고 성장할 수 있습니다.
- 의미: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4. 지금-여기 경험의 중요성 (Significance of the Here-and-Now Experience)
- 가정 설명: 게슈탈트 상담에서는 '지금-여기'의 경험이 치료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가정합니다. 이는 내담자가 현재의 감정과 상황을 직접 경험하고,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는 관점입니다.
- 의미: 내담자는 현재의 감정과 경험을 직접 다루고, 이를 통해 자아를 통합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고 가정합니다.
5. 개인의 책임 (Personal Responsibility)
- 가정 설명: 인간은 자신의 감정과 행동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가정합니다. 개인은 자신의 선택과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지고,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봅니다.
- 의미: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가 자신의 행동과 감정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 자아를 성장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가정합니다.
이러한 가정들은 형태적 상담에서 인간의 행동과 심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접근하는 데 중요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의 경험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진정한 자아를 탐색하며, 심리적 성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
---------------------------------------------------------------------------------------------------
58: 형태주의 이론과 정신분석이론의 공통점 과 차이점을 쓰시요.
--------------------------------------------------------------------------------------------------
1.공통점 |
1) 꿈을 중시한다. |
2. 차이점 |
1) 정신분석: 꿈분석을 통한 무의식표출 |
2) 형태주의 : 꿈 작업(꿈은 잃어버린 성격의 부분이며, 꿈은 자신에게 주는 실존적 메시지라고 봄) |
[ 학표환수법 ]
---------------------------------------------------------------------------------
59: 행동주의 상담이론의 기본가정 3가지
---------------------------------------------------------------------------------
1. 인간 등 모든 유기체의 행동은 학습된다. |
2. 인간의 의식은 믿을 수 없으며 관찰 가능한 표출된 행동만이 과학적 자료가 된다. |
3. 환경은 자극이고, 행동은 그 자극에 대한 반응이다. 인간은 환경의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유기체다. |
4. 인간의 행동은 학습된 것이며 학습조건의 변화에 따라 수정된다. |
5.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은 보편적 학습법칙을 따른다. |
- 학습된 행동: 인간의 행동은 학습된 것이므로 수정이 가능합니다.
- 환경의 변화: 특정한 환경의 변화는 개인의 행동을 적절하게 변화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관찰 가능한 행동: 관찰 가능한 행동만이 상담의 근거가 됩니다
[우무 불제감 우무 ]
--------------------------------------------------------------------------------------------
60: 행동주의 상담에서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내담자 상담의 목적
-----------------------------------------------------------------------------------------------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원인은 우유부단성과 무결단성 때문이다. 근본 원인은 미래에 대한 불안이다. 그러므로 상담의 |
목적은 이러한 불안을 제거하거나 감소시켜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
1. 우유부단형 : 정보의 부족, 학습적응의 기회부족으로 인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하지 못하는 것이다. |
불안에 대한 처방보다 정보제공으로 해결하는 것이 유용하다. |
2. 무결단성: 의사결정에 있어 주위환경의 변화를 고려해서 불안을 느끼며 적절한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입장으로 사회적 |
압력과의 갈등으로 인해 불안을 느낀다. |
- 행동 변화 촉진: 내담자가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행동 변화를 유도합니다.
- 자신감 향상: 내담자가 자신의 결정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문제 해결 능력 강화: 내담자가 다양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지원합니다.
- 환경 조정: 내담자가 의사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환경적 요인을 식별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합니다.
- 긍정적 강화: 내담자가 작은 성공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긍정적인 행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긍정적 강화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목적을 통해 내담자는 보다 효과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고,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게 됩니다.
'직업상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 상담학 2차 Sub-note 정리[79~100] (4) | 2024.09.04 |
---|---|
직업 상담학 2차 Sub-note 정리[61~78] (0) | 2024.08.16 |
직업 상담학 2차 Sub-note 정리[27~40번] (0) | 2024.08.04 |
직업 상담학 2차 Sub-note 정리[16~26번] (0) | 2024.07.29 |
직업 상담학 2차 Sub-note 정리[4~15번] (0) | 2024.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