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행복과 불행의 의미를 간단하게 정리해 보자. 
행복은 자기가 만족(받아들임)한 상태이고,  
불행은 자기가 만족하지 못한(부정) 상태이다. 
혹시 여러분은  역전 같은 곳에서 노숙자를 본 적이 있으신가요? 
그 노숙자 중에 농촌 출신이 있을까?  당연히 없다. 
농사짓는 사람은 겸손하고 서두르지 않고 묵묵히 살아간다. 
그렇다면 일용직 출신이 있을까?  
네, 역시 당연히 없습니다. 
일용직 출신은 자신이 원하면 일을 찾기가 쉽고,  
그 일당에 만족을 할 줄 알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주로 어떤 사람들이 있을까? 
사업하다 실패한 사람, 가게 하다 실패한 사람,  
중견기업 직장인... 이런 분들이 많다. 
왜? 그럴까? 
한 때 잘 나가던 그때를 아직 비우지 못했고 내려놓지 못한 까닭이다. 
그러니까 과거를 잊지 못해 현실 적응에 실패한 것이기 때문이다. 
현실을 살아가면서도 과거에 얽매여 여전히 그런 자세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다. 
"예전에 내가 말이야~" , " 한때는 말이야~..."  
이렇게 위험한 꼰대 유형이 많다. 
눈높이 조절이라는 말이 있다. 
눈높이는 정해진 것이 아니라 자신이 처한 환경에 따라서 조절 가능해야 한다. 
때로는 높게.. , 때로는 낮게... 
조절 기능이 작동하지 않고  자신만의 고정된 눈높이 이로 세상을 바라본다면 
너무 높아서 스트레스받거나 너무 낮아서 만족하지 못하는  
그 순간이 불행의 시작일 수 있다.   
눈이 머리에 붙어 있다면 어찌 될까? 
하늘(이상)은 잘 보일지 몰라도 앞을(현실) 볼 수 없으니  
나아갈 수가 없다. 
눈이 발바닥에 붙어 있다면 역시나 앞을 볼 수 없을 것이다. 
그릇도 깨끗하게 비운 것이라야 반짝반짝 윤기도 흐르고  
어떠한 물건이든 잘 담아낼 수 있는 것이다. 
잘 비우고, 잘 내려놓고, 잘 담아내는 것.... 
자신만의 행복의 주파수를 맞추는 방법이 아닐까?.
강원국 작가의 "말 같은 말 중에서.."
728x90
    
    
  반응형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긍정"에 관한 명언 (0) | 2023.04.23 | 
|---|---|
| 링컨 명언 (2) | 2023.04.23 | 
| 다툼, 분쟁의 복합적 감정에 관하여 (0) | 2023.04.22 | 
| 서울신문 워크넷 인터뷰 (0) | 2023.04.20 | 
| 경기도 일자리 재단 일자리 네트워크 (0) | 2023.04.20 | 
 
                    
                   
                    
                  